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8a5As/btsnEoSDUSY/FIHpC0meDGZBkEMDK9GnkK/img.png)
이 글에서는 연결리스트와 배열리스트의 차이, 그리고 성능 향상 사례를 대해 다룹니다. 연결리스트 vs 배열리스트 배열리스트(Array List) 연결리스트(Linked List) 구현 방법 - 배열을 이용하는 방식 - 여러 노드를 연결하는 방식 (노드: 데이터, 다음 노드 주소를 관리하는 객체) 조회 - 데이터가 연속된 공간에 저장 - 배열 0번째 주소 + (배열원소타입 크기 x 인덱스)를 계산하여 데이터 조회 - 시간복잡도: O(1) - 노드들은 불연속적인 공간에 저장 - 첫번째 노드부터 인덱스에 해당하는 노드에 도착할 때까지 순회 - 시간복잡도: 최악의 경우 O(n) 삽입 - 데이터를 삽입하려는 위치부터 모든 데이터를 한 칸 씩 미루고, 데이터를 삽입 - 배열은 크기가 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어, 배열이..
좌충우돌 프로젝트 이야기
2023. 7. 15. 19:47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배열리스트
- 분산락
- CI/CD 파이프라인
- Spring Application 서버 실행
- HTTP 완벽 가이드
- CI/CD
- Jenkins
- 낙관적락
- F-LAB
- 데이터베이스 동시성
- 동시성 이슈
- NHN 엔터프라이즈
- JWT 토큰
- Docker 자동화 배포
- GitHub Webhook
- application.properties 분리
- 더미데이터 생성
- T 인터뷰
- CD 파이프라인 구축
- NHN 엔터프라이즈 면접
- NHN 면접
- 디지털 청년 고민 해결단
- C 인터뷰
- 회고
- 디지털 청년 고민 해결단 온라인 멘토링
- 개발자 면접
- 랠릿
- 비관적락
- application.yml 분리
- java 로그인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