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1uD3K/btsplPVoCKD/LzOINct38uKhCuopdkkEk1/img.png)
지난 동시성 이슈 해결 1탄 에서는 코드 레벨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동시성 이슈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 이번 편에서는 데이터베이스 레벨의 동시성 이슈와 해결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인터넷의 많은 글에서 동시성 해결방법에 관한 키워드(분산락, 낙관적락, 비관적락, Named Lock 등)를 볼 수 있는데요. 해당 용어들도 정리해보겠습니다. 데이터베이스 레벨의 동시성 이슈 - 트랜잭션 충돌 데이터베이스의 재고 데이터를 감소하는 명령이 3번 호출됐을 때를 가정해보겠습니다. 각 명령이 트랜잭션으로 처리된다고 생각해보면 위 그림과 같이 3개의 트랜잭션이 실행될 것입니다. 초기 재고량이 10이므로 기대하는 결과 값은 7입니다. 하지만 위 그림에서 확인되는 결과값은 9입니다. 이는 기대와는 다른 결과 값입니다. 즉,..
좌충우돌 프로젝트 이야기
2023. 7. 28. 11:27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분산락
- 낙관적락
- 동시성 이슈
- Docker 자동화 배포
- Jenkins
- 랠릿
- 개발자 면접
- application.yml 분리
- 디지털 청년 고민 해결단 온라인 멘토링
- 배열리스트
- CI/CD 파이프라인
- 디지털 청년 고민 해결단
- Spring Application 서버 실행
- NHN 면접
- java 로그인
- 데이터베이스 동시성
- JWT 토큰
- T 인터뷰
- F-LAB
- 회고
- CD 파이프라인 구축
- NHN 엔터프라이즈 면접
- NHN 엔터프라이즈
- GitHub Webhook
- 더미데이터 생성
- 비관적락
- application.properties 분리
- HTTP 완벽 가이드
- C 인터뷰
- CI/CD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